첨부파일 악성코드, 악성 사이트 확인? 모든 백신 통합검사 바이러스토탈


사방천지에서 마구 뿌려대는 파일 무료다운 쿠폰에 혹해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악성코드에 걸릴 수 있다.
요즘은 업자들이 블로그나 카페를 이용, 이용자들의 무의식적인 반응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파일다운 사이트의 다운로더가 열리는 동시에 악성코드가 설치되거나 해킹될 수 있다.



며칠 전에는 아이들 있는 집 컴퓨터에 한메타자연습을 설치해 주려고 모 네이버 블로그에서 파일을 다운받았다.
실행해 보니 안타깝게도.. 한메타자연습 인스톨러 대신 다운로더 창이 떴다.
잠시 후 알약에 경고메시지가 뜨고 바탕화면에 이상한 아이콘이 생성되었다.
(요즘은 웹브라우저에 악성코드 검출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은 안심할 수 있다)

한메타자연습 설치파일은 대략 8~9메가정도 되지만 위 낚시파일은 264KB.
게다가 'pdsdownloader 어쩌구'하는 설명이 구린 냄새를 풍긴다.
의심스러운 파일을 다운받으면 우선 마우스 오른쪽 버튼-'속성'을 눌러 등록 정보를 확인해 보자.
1) 파일 제작자(저작권자) 확인
2) 설치 파일의 용량이 너무 적거나 크지는 않은가?
그리고...



다운받은 파일 악성코드 감염 여부 확인하기

다운받은 파일을 바이러스토탈 사이트[바로가기]에 업로드해서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바이러스토탈은 구글의 자회사인데, 업로드된 파일을 V3, 알약, ESET, 하우스콜 등등 시중의 메이저 백신들을 죄다 동원해서 검사하고 진단결과를 보여준다.
*. 문서, 사진 등 개인파일 업로드시 개인정보가 공개될 수 있으니 주의!
*. 윈도우용 파일 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 .apk 파일의 악성코드도 검출된다.


바이러스토탈에 사용되는 엔진

Antiy-AVL
AVG
Ad-Aware
AhnLab-V3
Alibaba
Avast
avira
Baidu-International
BitDefender
ClamAV
Comodo
DrWeb
ESET-NOD32
F-Prot
F-Secure
Kaspersky
Malwarebytes
McAfee
McAfee-GW-Edition
Symantec
TrendMicro
TrendMicro-HouseCall
ViRobot
nProtect


안전한 파일이라면 위와 같이 Undetected, 0이라고 뜬다.



바이러스토탈에서 악성 사이트 확인하기

파일을 업로드해서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고, URL의 악성코드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